다중모니터 설정방법 및 연결팁
그래픽 카드의 발전으로 이제는 가정에서도 20인치 이상의 모니터를 사용하는곳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 마저도 작다고 느끼시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저도 여러개의 인터넷창을 띄우고 자료를 찾다보니 작게 느껴지더라구요, 그래서 이번에 득탬하게된 모니터를 집에서 듀얼로 연결해 보았습니다.
그 과정을 함께, 정보를 나누어 보고자 합니다. 아래에서 이미지를 한번씩 보시고 설명글을 참고 하여서 직접해보시길 바랍니다. 다중모니터 설정 방법이 무척 쉽습니다.
그래픽 카드별로 다릅니다. D-SUB 단자가 2개가 있는게 있으며, 반대로 DVI단자가 두개로 구성된 제품도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의 경우는 위의 이미지처럼 D-SUB 1개, DVI 1개 이렇게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만약에 위에서 제가 설명드린것처럼 두개의 단자가 없다면 그래픽 카드를 교체 하셔야 합니다.
이유는 1개 남는곳에, 새로운 모니터를 연결해야 하는데 연결할 공간이 없기 때문입니다.
오늘 기준은 윈도우7 입니다. 그외 OS인 윈도우8 도 비슷하니, 참고하시면 좋을듯 싶습니다. 바탕화면 빈공간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시면 창이 열리게 됩니다. 이곳에서 " 화면해상도 " 를 선택해 주세요
만약 위의 방법처럼 잘되지 않는다. 마우스가 잘 눌러지지 않는다는 극단적인 환경이라면 제어판을 통하면 됩니다. 시작 -> 제어판 이곳에서 " 모양 및 개인설정 " 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많은 메뉴가 있어서
찾는게 조금 어려울꺼 같아서 이미지에 화살표 로 강조해 두었습니다. 이미치 참고 ~!!
이제, 화면을 구성하는 제어판 메뉴에 들어왔습니다. 이곳에서 오늘 해야할꺼 " 화면해상도 조정" 입니다.
글씨를 마우스로 다시한번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첫번째 방법과, 두번째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첫번째 방법이 가장 간단합니다. 하지만 두번째도 기능은 동일하니, 본인이 사용할때 보다 편한걸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제가 이용하는 다중 모니터 환경입니다. 정상적으로 모니터를 연결하였다면 우측에 있는 " 감지 " 라는 아이콘을 누르게 되면 모니터가 2개가 보이게 됩니다.
만약, 정상적으로 설정했는데 감지가 되지 않는다면 2가지를 점검해 보시길 바랍니다. 새로 연결한 모니터의 전원을 올바르게 연결하였는지, 연결하였다면 PC를 재부팅 하였는지 입니다.
두대의 모니터에 전원을 모두 ON 상태에서 재부팅하고, 다시 위의 순서대로 해보시길 바랍니다.
대부분 연결이 될것입니다. ^^
제가 주황색으로 표시해둔곳에 모든 기능이 밀집되어 있습니다. 해상도는 모니터별로 달리 설정할수 있습니다. 마우스로 모니터 모양을 한번씩 눌러보시면 주황색 부분이 변경되고 설정할수 있게 되는걸 보실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핵심입니다. 다중디스플레이 입니다. 디스플레이 복제는 1번화면에 보이는건 2번화면에 똑같이 반영하는겁니다. 즉 카피 기능입니다. 디스플레이 확장은 1번과 2번 모니터를 한개의 모니터처럼 사용하는 것입니다.
대부분 확장을 선택해서 많이들 사용합니다. 그러면 가장 궁금한게 1번 모니터 설정방법입니다. 디스플레이 설정 바로 아래에 있는 " 이디스플레이를 주모니터로 만들기 " 를 선택하게 되면 지정한 모니터가 1번모니터가 되게 됩니다.
1번모니터가 되면 시작 메뉴가 이곳에 보이게 됩니다. 차이점은 이것입니다. 어떤가요 쉽죠?
모니터 모양을 마우스로 두번 더블클릭을 하게 되면 속성 항목이 나오게 됩니다. 이곳에서 상단탭을 보면
모니터 라는곳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화면재생빈도 라는게 있는데 이곳의 숫자를 가장 높은걸로 해주시길
바랍니다. 화면재생빈도가 높을수로 눈이 덜 피로합니다.
다음으로 요즘은 보통 32비트 트루컬러가 지정되어 있지만, 오류 또는 사용자 실수로 하이컬러로 하향되기도 합니다. 이곳을 트루컬러로 맞춰주고 확인 또는 적용을 누르면 됩니다.
모니터별로 설정이 모두 가능하니, 연결한 모니터 모두 동일하게 해주시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