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 이야기

한글 임시파일 저장위치 폴더 2010

by 하늘학교 2014. 4. 3.
반응형

 

며칠전에 한글로 글을 작성하다가, 실수로 컴퓨터 전원이 꺼지는 사태가 발생하였습니다. 과거에도 이러일들이 종종 있었고 비정상 종료는 프로그램을 재실행하면, 다시 실행이 되기에 크게 개의치 않았는데

무슨 날벼락인지 몇시간 작성했던 글 들이 모두 날라가 버리는 사태가 발생하였습니다.

 

어떻게 하던, 저의 실수로 그런거라서 화를 낼수도 없었고 마지막 방법으로 찾았던게 한글 임시파일이 저장위치를 확인해 보는것였습니다. 아래에서 여러분들도 이미지를 통해서 하나씩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혹시나 설정이 안되어 있는 분들은 이번기회에 설정을 해두시길 바랍니다.

 

 

 

한글2010기준 이지만, 97등 다른버젼 사용자 분들도 비슷합니다. 우측상단 프로그램 종료를 하는 X표 바로 아래에 보면 물음표 모양이 있습니다. 이곳을 누르면 하위메뉴가 보이게 되는데 이곳에서 정보 라는 항목을 선택하면 됩니다. 이미지에 표시되어 있으니 위치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3가지 탭이 보이게 되는데 이곳에서 폴더정보 라는 탭으로 이동을 하세요 그러면 임시폴더 가 저장되는 위치가 나오게 됩니다. 이용하는 컴퓨터별로 조금씩 저장 위치가 다를수 있습니다. 계정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PC라면 다를수 있으니 꼭 자신의 임시폴더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탐색기를 실행하여서, 임시폴더 위치에 가면 지금까지 작성했던 여러가지 한글파일들이 보이게 됩니다.

이곳에서 날짜별, 시간대별로 가장 최신의 한글파일을 실행하면 됩니다. 저는 다행이도 이곳에서 찾아서

복원을 하였답니다. ^^

 

 

 

기본설정은 10분에 한번씩 저장을 하게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자주 문서작성을 하는 분이라면 그 시간을 짧게 잡아두는게 좋습니다. 메뉴에서 도구 를 선택하고 제일 하단에 있는 환경설정을 선택해 주세요

 

 

 

무조건 자동저장 이라는곳에서 시간을 5분으로 줄이시면 됩니다. 어떤가요? 의외로 간단하죠 종종 과거와 달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더라도 자동으로 복원이 안되어서 무척당황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렇게 임시폴더 를 찾아가서 최신날짜와 시간순으로 좁혀서 파일을 찾으면 대부분 작성하던 문서를 복구할수 있답니다. 오늘 저는 무척 당황했었는데 다행이 이와같은 방법으로 해결하였습니다. 알아두면 분명 유용한 팁이니 참고해 두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