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가 다가오면서 자식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자 하는 부모님들이, 요즘 많이 주택연금 에 가입을 하고 계시는 추세입니다. 여기서 주택연금에 대하여 잘 모르시는 분들도 계실수가 있는데 쉽게 설명하면 60세 이상의 우리 부모님들이, 자신이 살고 계시는 본인 소유의 집을 담보로 평생 일정 금액을
연금형식으로 받는걸 말하는 겁니다.
자식들 키워주시고 결혼까지 모두 보낸 부모님들의 이제 소원은 자신이 죽는 순간까지, 가족들에게 짐이 되지 않고 싶어하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그래서 주택연금이 작년에 비하여 10% 이상 가입자가 증가한
이유인거 같기도 합니다.
집을 유산으로 남겨서 물려주는것보다. 연금으로 받으면서 걱정없는 노후를 선택하시는 거지요 그러면
위에서 말씀드린 주택연금에 가입하기 위한 조건을 간략히 적어 보겠습니다.
가입조건
1. 부부기준 1주택만을 소유하여야 합니다.
2. 시가 9억원 이하의 주택 및 지자체에 신고된 노인복지 주택 이어야 합니다.
3. 주택의 소유자가 만60세 이상이어야만 하며 부부공동 소유일때는 연장자가 만 60세 이상 이어야함
생각보다 조건이 까다롭지 않으시죠? 제가 생각해도 그런거 같습니다.
그럼 우리가 궁금한 매달 직급액에 관하여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종신지급방식과 종신혼합방식중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종신혼합 방식의 경우는 수시로 인출할수 있는 한도를 정해놓을수 있고 그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연금형식으로 지급받는 것입니다.
종신지급 방식은 그냥 위와 반대로 전체 금액을 연금형식으로 받는 방식입니다. 위의 2가지 방식중 선택을 하시게 되면 아래 4가지 방식을 세부적으로 선택하게 됩니다.
증가형 : 처음에는 지급받는 액수가 작지만 1년마다 3% 씩 액수가 증가하여 지급받는 방식입니다.
감소형 : 처음에는 지급받는 액수가 많지만 1년마다 3% 씩 액수가 감소하여 지급받는 방식입니다.
정액형 : 매달 일정한 금액을 지급받는 방식입니다.
전후후박형 : 초기 10년간 정액형보다 많이 받다가 11년째부터 70%만 받는 방식 입니다.
약간 복잡하지요? 사람마다 돈의 쓰임새가 다르기 때문에 세부적으로 나뉘어 논듯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큰돈이 들어갈 일이 없으시다면 가장 무난한 방법인 종신지급 방식을 택하신후 -> 정액형을 선택하시는게
좋을꺼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럼 가장 궁금하시거지요~!! 우리집을 담보로 주택연금 수령은 얼마나 받을수 있을까에 대한 거요
http://www.hf.go.kr/hfp/pension/simulator/pay_search.jsp
위 싸이트에 접속하시면 해당 그림처럼 자신이 원하는 유형을 선택하고, 대략적인 금액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자식이 없으시고 혼자 사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이런분들은 나이가 들면 의지할곳이 줄어들고 경제활동을 할수 없게 되는데, 이런분들께 주택연금은 좋은 제도 같습니다.
또한 부부가 사망할때까지 연금을 받지만, 부득이하게 급작스럽게 돌아가시고 그동안 받은 연금이 집값보다. 작을때는 그 금액을 정산하여 상속인에게 돌려 줍니다.
그리고 장수하시어 오래 사시게되어 집값을 초과하는 연금을 받았을때는, 상속인에게 별도의 청구를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 주시는 제도 같습니다. ^^
그럼, 곰곰히 생각해 보시고 좋은 선택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부모님이 버신 재산입니다.
자식에게 물려줄려고 애쓰지 마시고, 편한노후를 위해서 사용하시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마의자 구입기 추천 참고할점 (0) | 2013.10.26 |
---|---|
한경희 스팀 청소기 다리미 A/S 서비스센터 위치 연락처 (2) | 2013.10.25 |
일체형 PC 장단점 그리고 추천 (1) | 2013.10.23 |
신세계 백화점 매장전화번호 및 위치 영업시간 안내 (0) | 2013.10.23 |
이건 음악회 무료 이벤트 공연티켓 응모 광주 부산 고양 (0) | 2013.10.23 |